CLOLAT

Self-identification

CLOLAT Channel

로웬펠트의 연구

아동미술의 발달단계를 구분하는 일은 학자간에 다소 차이가 있다.
여기서는 Lowenfeld(1947)의 이론을 중심으로 요약하여 이해를 돕고자 한다.

난화기
(The scribbing stage, 2-4세 : 자아표현의 시작)
- 손의 근육 운동 결과로 생긴 선들을 발견하고 즐기는 단계
- 목적성 없이 긁적이는 수준
- 팔을 움직이는 것, 표현 자체에 대한 만족감
- 수평성, 수직선, 난잡한 선
- 3~4세 되면서 상징 발달, 내면표출 → 단순한 낙서가 아니다
- 미분화적 상태
마구 그리는 난화기(disordered scribbling) - 2세
선들은 종이 위에 자유롭게 여러 방향으로 마구 그리는 것
근육운동지각활동, 동작을 통제하지 못함. 무의식적 표현
크레용을 쥐는 방법도 표현 유형에 영향을 미침
조절된 난화기(controlled scribbling) -2세 6개월
연속적 조절된 움직임, 시각과 근육활동과의 협응
일정한 선이 나타나는 반복적인 동작들이 통제
일정한 동작에서 이탈하면서 통제에 자신감
이름 붙이는 난화기(naming of scribbling) -3~4세
근육운동지각에서 상상에 의한 사고로 변화-보는 것(picture)
중단을 자주하며 동작이 혼란을 일으킴
색지각의 첫단계 : 색구별(다른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다른 색 사용)
색은 상관없음. 강한 대비가 이루어지는 것이 좋음

가장 좋은 재료는

검정 크레파스와 넓은 종이, 운동감각을 가장 뚜렷하게 느끼게 하는 흑판과 백묵(진한 색의 재료로
표현자체를 즐기도록)로 재현할 수 있다.
되도록 질감을 느낄 수 있게 함.